맨위로가기

요한 요아힘 빙켈만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요한 요아힘 빙켈만은 1717년 독일에서 태어난 미술사학자이자 고고학자로, 고대 미술 연구의 선구자이다. 그는 《그리스 예술 모방론》과 《고대 미술사》를 저술하여 고대 그리스 미술의 우수성을 강조하며 신고전주의 미술에 이론적 기반을 제공했다. 빙켈만은 고대 그리스 미술을 이상으로 삼아 모방해야 한다고 주장했으며, 그의 저술은 18세기 후반의 미적 취향 변화에 큰 영향을 미쳤다. 그는 1768년 여행 중 살해당했으나, 그의 연구는 오늘날까지 미술사 연구에 중요한 영향을 미치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독일의 미술사학자 - 아비 바르부르크
    아비 바르부르크는 독일의 미술사학자이자 문화 이론가로서, 형식주의 미술사에 반대하며 이미지에 대한 학제적 연구를 개척하여 이미지학과 시각문화연구 발전에 기여했고, 그가 설립한 바르부르크 문화학 도서관은 르네상스 연구의 기반이 되었다.
  • 독일의 미술사학자 - 올리버 그라우
    올리버 그라우는 크렘스 도나우 대학교의 이미지학 교수이자 학과장으로, 미디어 아트, 몰입형 가상 현실, 인공지능 등을 연구하며, 《가상 예술: 환영에서 몰입으로》 등의 저서를 출판하고, 국제 컨퍼런스 Refresh!를 창설하여 미디어 아트 분야 발전에 기여했다.
  • 독일의 고고학자 - 오토 얀
    오토 얀은 고대 그리스와 로마 문화 연구에 기여한 독일의 고고학자이자 문헌학자, 전기 작가로, 특히 《모차르트 전기》는 학술적 가치를 인정받지만 자료 해석 방식에 대한 비판도 있다.
  • 독일의 고고학자 - 에른스트 쿠르티우스
    에른스트 쿠르티우스는 독일의 고고학자이자 역사가로서, 올림피아 유적 발굴 및 연구의 기반을 마련하고 《그리스사》를 저술했으며, 미국 학계의 인정을 받았다.
  • 독일의 성소수자 작가 - 라이너 베르너 파스빈더
    라이너 베르너 파스빈더는 독일 바이에른 출신의 영화 감독, 극작가, 배우로, 브레히트와 누벨바그의 영향을 받아 사회 비판적인 영화들을 저예산으로 빠르게 제작하며 《페트라 폰 칸트의 쓰디쓴 눈물》, 《불안은 영혼을 잠식한다》 등의 대표작을 남겼으나 37세의 나이로 사망했다.
  • 독일의 성소수자 작가 - 토마스 만
    20세기 독일의 대표적인 소설가이자 수필가인 토마스 만은 부유한 상인 가문 출신으로 부르주아 사회의 몰락을 그린 작품으로 명성을 얻었으며, 나치 정권에 저항하며 망명 생활을 했고, 심오한 철학적 성찰과 섬세한 심리 묘사, 풍자적인 유머가 특징인 작품들로 1929년 노벨 문학상을 수상했다.
요한 요아힘 빙켈만 - [인물]에 관한 문서
지도
기본 정보
이름요한 요아힘 빙켈만
원어 이름Johann Joachim Winckelmann
출생일1717년 12월 9일
출생지슈텐달, 브란덴부르크 변경국, 신성 로마 제국
사망일1768년 6월 8일
사망지트리에스테, 합스부르크 군주국
국적독일
분야고고학, 미술사학
주요 저작《고대 미술사》
알려진 업적신고전주의 운동의 발흥에 기여
학력
모교할레 대학교
기타
로마자 표기Johann Joachim Winckelmann
독일어 발음/ˈjoːhan ˈjoːaxɪm ˈvɪŋkl̩man/
이미지
라파엘 멩스가 1755년 이후 그린 초상화

2. 생애

작센주에서 태어난 빙켈만은 어린 시절부터 미술사 연구에 몰두하였다. 1755년 로마로 이주하여 고대 미술을 연구하고, 로마와 이탈리아 각지에 흩어져 있는 유물과 유적을 조사했다. 드레스덴에서 고대 미술품을 접하고 고대 정신에 눈을 뜨게 되었으며, 연구를 위해 개신교에서 가톨릭으로 개종했다.

''고전적 풍경을 배경으로 한 요한 요아힘 빙켈만의 초상화'', 1760년 이후 (바르샤바(Warsaw)의 바르샤바 왕궁(Royal Castle))


1764년 『고대 미술사』를 출간하였다. 1768년 에서 여황제 마리아 테레지아에게 금상을 받았으나, 귀가 도중 트리에스테에서 이탈리아인에게 살해당했다. 그는 고대 미술의 역사를 처음으로 연구하여 학문으로서의 기틀을 세웠고, 이를 통해 근대 미술사에 큰 공헌을 하였다.

2. 1. 초기 생애 (1717-1748)

작센주에서 태어난 빈켈만은 어린 시절 고난 속에서도 학문적 열정을 키웠다. 베를린의 쾰니셰 김나지움과 잘츠베델의 알트슈테트 김나지움을 거쳐, 1738년 할레 대학교에 신학생으로 입학했다.[10] 그러나 그는 신학보다 그리스 고전에 더 큰 관심을 가졌으며, 비공식적으로 그리스어를 공부하고 알렉산더 고틀리프 바움가르텐의 강의를 들으며 미학에 대한 관심을 키웠다.[10] 헤로도토스 번역에 열중하기도 했다.

1740년에는 의사가 되기 위해 예나 대학교에서 의학 수업을 들었고, 언어를 가르치기도 했다. 1743년부터 1748년까지 제하우젠 김나지움의 부교장으로 일했지만, 아이들을 가르치는 일에 어려움을 겪었고, 낮은 봉급으로 인해 마그데부르크 근처에서 가정교사직을 맡아야 했다.[3] 람프레히트 가문의 가정교사로 일하면서 그는 람프레히트 아들에게 사랑을 느끼기도 했는데,[3] 이는 그가 남성의 형태에 대한 열정을 통해 고대 그리스와 로마 조각에 대한 관심을 키우는 계기가 되었다.[11]

어릴 적부터 호메로스를 비롯한 그리스 고전 문학에 깊이 빠져 독학으로 그리스 관련 연구를 계속했던 그는, 드레스덴에서 고대 미술품을 접하고 고대 정신에 눈을 뜨게 되었다.

2. 2. 폰 뷔나우 백작 도서관 시절 (1748-1754)

1748년, 빙켈만은 뷔나우 백작 하인리히에게 편지를 써서 자신이 연구해 온 그리스 문학이 좋은 책이 드물고 비싸서 가치를 인정받지 못한다고 했다.[12] 같은 해, 그는 드레스덴 근처 노트니츠에 있는 폰 뷔나우 백작의 도서관 사서로 임명되었다. 이 도서관에는 약 4만 권의 책이 소장되어 있었다.[12] 빙켈만은 호메로스, 헤로도토스, 소포클레스, 크세노폰, 플라톤을 읽었지만, 노트니츠에서는 계몽주의 시대의 저명한 작가인 볼테르몽테스키외의 작품들을 발견했다.[12] 빙켈만에게 프로이센의 스파르타식 분위기를 벗어난 것은 큰 안도감이었다.[12]

그의 주요 업무는 폰 뷔나우 백작이 신성 로마 제국에 관한 책을 쓰는 것을 돕고 자료를 수집하는 것이었다.[12] 이 기간 동안 그는 드레스덴의 골동품 수집품을 여러 차례 방문했지만, 그곳의 최고 그림에 대한 그의 묘사는 미완성으로 남았다.[12] 그럼에도 불구하고 그곳의 보물들은 빙켈만에게 예술에 대한 강렬한 관심을 불러일으켰고, 특히 화가 아담 프리드리히 외저와의 교류를 통해 심화되었으며, 외저는 빙켈만의 미학 연구를 격려했다.[12]

2. 3. 로마 시대 (1755-1768)

1755년 로마에 가서 고대 미술을 연구하는 한편, 로마와 이탈리아 여러 곳에 흩어져 있는 유품을 모으고 유적을 조사하였다.[14] 그는 고대 미술의 역사를 처음으로 연구하여, 학문으로서의 기틀을 세움으로써 근대 미술사에 큰 공헌을 하였다.

빙켈만은 1755년 11월 로마에 도착했다. 그의 첫 번째 임무는 벨베데레 안뜰(Cortile del Belvedere)의 조각상들, 즉 《벨베데레 아폴론(Apollo Belvedere)》, 《라오콘 그룹》, 소위 《안티노우스(Antinous)》, 그리고 《벨베데레 토르소(Belvedere Torso)》를 묘사하는 것이었다. 이 조각상들은 그에게 "고대 조각의 최고의 완벽성"을 나타내는 것이었다.

원래 빙켈만은 드레스덴으로부터 받은 지원금의 도움으로 이탈리아에 2년만 머물 계획이었지만, 7년 전쟁(Seven Years' War) (1756~1763)의 발발로 그의 계획이 바뀌었다. 그는 파시오네이 추기경(Cardinal Passionei)의 사서가 되었고, 추기경은 그에게 많은 친절을 베풀었다. 빙켈만은 또한 아르킨토 추기경이 된 알베리코 아르킨토의 사서가 되었다. 두 추기경이 사망한 후, 빙켈만은 알레산드로 알바니 추기경의 집에서 사서로 고용되었는데, 알바니 추기경은 포르타 살라리아(Porta Salaria)의 빌라에 있는 그의 웅장한 고대 유물 수집품을 만들고 있었다.



새로운 친구이자 화가인 안톤 라파엘 멩스(Anton Raphael Mengs) (1728~1779)의 도움으로, 그는 처음 로마에서 멩스와 함께 살았고, 고대 유물 연구에 전념하여 점차 고대 예술에 대한 탁월한 지식을 습득했다. 빙켈만의 세심한 관찰 방법은 그 당시에는 드물었던 그리스 예술의 로마 복제품을 식별할 수 있게 해주었다. 그의 친구 멩스는 빙켈만의 사상이 예술로 구현되고 유럽 전역으로 퍼져나가는 통로가 되었다. ("우리가 위대해지고, 가능하다면, 흉내낼 수 없게 되는 유일한 방법은 그리스를 모방하는 것이다." 빙켈만은 《사색》에서 선언했다. 모방이란 노예적인 복제를 의미하지 않았다. "... 이성적으로 다루어진 모방은 마치 다른 본성을 띠고, 자신의 것이 되는 것이다.") 신고전주의 예술가들은 고대 그리스와 로마의 정신과 형태를 모두 되살리려고 노력했다. 멩스의 공헌은 상당했다. 그는 당대 최고의 화가로 널리 여겨졌다. 프랑스 화가 자크 루이 다비드(Jacques-Louis David)는 로마 (1775~1780)에서 멩스를 만났고, 그를 통해 빙켈만의 예술 이론을 접하게 되었다. 그 이전에 로마에서 빙켈만은 스코틀랜드 건축가 로버트 아담(Robert Adam)을 만났고, 그에게 영향을 주어 건축에서 신고전주의의 선구자가 되었다.[17]

1760년, 빙켈만의 《고인 필립 폰 슈토슈 남작(Philipp von Stosch)의 새겨진 보석에 대한 설명(Description des pierres gravées du feu Baron de Stosch)》이 출판되었고, 1762년에는 파에스툼(Paestum)의 사원에 대한 설명이 포함된 《고대 건축에 대한 관찰(Anmerkungen über die Baukunst der Alten)》이 출판되었다. 1758년과 1762년에 그는 폼페이(Pompeii)와 헤르쿨라네움(Herculaneum)에서 진행되고 있는 고고학 발굴을 관찰하기 위해 나폴리(Naples)를 방문했다.[18] 1763년, 알바니의 지지로 그는 클레멘트 13세(Pope Clement XIII)의 고대 유물 관리관으로 임명되었다.

1763년부터 빙켈만은 알바니와의 직책을 유지하면서 고대 유물 관리관(Prefetto delle Antichità)과 바티칸의 독일어 필사가(Scriptor linguae teutonicae)로 일했다. 빙켈만은 1765년과 1767년에 다시 나폴리를 방문하여 작센 선제후와 공주를 위해 《비안코니에게 보내는 편지(Briefe an Bianconi)》를 썼는데, 이 편지는 그의 사후 11년 후 《로마 안토로지아(Antologia romana)》에 실렸다.[20]

빙켈만은 《아름다운 과학 도서관(Bibliothek der schönen Wissenschaften)》에 여러 에세이를 기고했고, 1766년에는 《우화에 대한 시도(Versuch einer Allegorie)》를 출판했다. 훨씬 더 중요한 것은 《미발표 고대 유물(Monumenti antichi inediti)》 ("미발표 고대 유물", 1767~1768)이라는 작품으로, 예술사의 개요를 제시한 《예비 논문(Trattato preliminare)》을 서문으로 싣고 있다. 이 작품의 판화는 잘못 설명되었거나 전혀 설명되지 않은 물체들을 나타낸다. 빙켈만의 설명은 로마 역사와 관련된 것으로 여겨지는 많은 예술 작품의 궁극적인 영감의 원천이 호머(Homer)에서 찾을 수 있다는 것을 관찰 방법을 통해 보여줌으로써 미래의 고고학 과학에 엄청난 도움이 되었다.

2. 4. 죽음 (1768)

1768년, 빙켈만은 알프스산맥을 넘어 북쪽으로 여행했지만 티롤 지방에 실망하여 이탈리아로 돌아가기로 결정했다. 그러나 그의 친구이자 조각가이자 복원가인 바르톨로메오 카바체피는 그를 뮌헨으로 여행하도록 설득했고, 마리아 테레지아 황후에게 경의를 표하며 받아들여졌다. 돌아오는 길에 1768년 6월 8일 트리에스테의 한 호텔 침대에서 동행 여행자였던 프란체스코 아르칸젤리라는 남자에게 살해당했다. 살인의 진짜 이유는 알려지지 않았다. 한 가설은 마리아 테레지아 황후가 빙켈만에게 준 메달이 동기였다고 주장하지만, 범죄 후에는 도난당하지 않았다. 또 다른 가능성은 아르칸젤리가 빙켈만의 동성애적 접근에 대해 살해했지만, 빙켈만은 아르칸젤리가 단지 "un uomo di poco conto|별 볼일 없는 남자it"라고 생각했던 것이다. 아르칸젤리는 한 달 후 두 사람이 머물렀던 호텔 밖에서 바퀴에 묶어 처형되었다.

빙켈만은 트리에스테 대성당 교회 묘지에 묻혔다. Domenico Rossetti De Scander|도메니코 로세티 데 스칸데르it와 Cesare Pagnini|체사레 파니니it는 빙켈만의 생애 마지막 주를 기록했고, 하인리히 알렉산더 슈톨은 이탈리아 문서, 소위 "빙켈만 살인 문서(Mordakte Winckelmann)"를 독일어로 번역했다.

3. 주요 저술 및 업적

빙켈만의 주요 저술로는 '''그리스 회화와 조각에서 그리스 작품 모방에 대한 생각'''(''Gedanken über die Nachahmung der griechischen Werke in der Malerei und Bildhauerkunst'')과 '''고대 예술의 역사'''(''Geschichte der Kunst des Alterthums'')가 있다. 이 두 저서는 고대 예술에 대한 찬미를 담고 있으며, 큰 반향을 불러일으켰다.[27]

빙켈만은 예술은 자연을 이상화하여 미의 이데아를 표현해야 하며, 이는 고대 그리스에서 달성되었으므로 고대 그리스를 모방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그의 저서는 신고전주의의 이론적 기반이 되었으며, 괴테레싱에게도 영향을 주었다.

그러나 빙켈만이 고대 그리스 조각이라고 생각했던 작품들 대부분은 실제로는 로마 시대의 모각이었다. 실제 고대 그리스의 대리석 조각에는 채색이 있었지만, 빙켈만은 "고대 그리스는 순백의 문화"라고 주장하여, 이후 엘긴 마블 등 그리스 조각의 표면이 박물관에서 깎이는 사건이 여러 건 발생하기도 했다.

그의 다른 저술들은 다음과 같다.

제목출판 연도내용
슈토슈 남작의 각인된 돌에 대한 설명 (Description des pierres gravées du feu Baron de Stosch)1760년
고대 건축에 대한 논평 (Anmerkungen über die Baukunst der Alten)1762년파에스툼 사원에 대한 설명 포함
헤르쿨라네움 발굴에 대한 서한 (Sendschreiben von den Herculanischen Entdeckungen)1762년
예술에서의 아름다움에 대한 에세이 ("Essay on the Beautiful in Art")1763년프리드리히 루돌프 폰 베르크에게 보낸 서한 형식의 에세이
최근 헤르쿨라네움 발굴에 대한 보고서 ("Nachrichten von den neuesten Herculanischen Entdeckungen")1764년
풍유에 대한 시도 (Versuch einer Allegorie)1766년많은 사고와 독서의 결과를 담고 있지만 철저하게 비판적인 정신으로 구성되지는 않음
미발표 고대 유물 (Monumenti antichi inediti)1767년–1768년예술사의 일반적인 개요를 제시하는 Trattato preliminare로 시작됨. 이 작품의 판화는 잘못 설명되었거나 전혀 설명되지 않은 물체를 나타냄
비안코니에게 보낸 편지 (Briefe an Bianconi)사후 11년 후 (1780년)Antologia Romana에 게재됨



선별된 작품들의 축약판으로는 데이비드 어윈의 ''Winckelmann: Selected Writings on Art'' (런던: 파이돈, 1972)과 데이비드 카터의 ''Johann Joachim Winckelmann on Art, Architecture, and Archaeology'' (캠든 하우스, 2013)가 있으며, 비평판으로는 발터 레엄과 헬무트 지히터만 편, ''Kleine Schriften, Vorreden, Entwürfe'' (베를린, 1968)가 있다.

3. 1. 그리스 예술 모방론 (1755)

Gedanken über die Nachahmung der griechischen Werke in der Malerei und Bildhauerkunstde (《그리스 회화와 조각에서 그리스 작품 모방에 대한 생각》)은 1755년에 초판 50부가 발행되었고, 1756년에 재판이 발행되었다. 이 작품에는 작품에 대한 가짜 공격과 원칙에 대한 옹호가 중립적인 비평가에 의해 명목상으로 이어졌다.[27]

빙켈만은 이 책에서 예술은 자연을 이상화해야 하는 것(미의 이데아를 표현하는 것)이며, 그것은 고대 그리스에서 달성되었으므로 우리가 목표해야 하는 것은 고대 그리스의 모방이라고 주장했다. 그의 저서는 신고전주의의 이론적 기둥이 되어 괴테, 레싱에게도 영향을 주었다.

빙켈만이 고대 그리스 조각이라고 생각했던 작품의 대부분은 실제로는 로마 시대의 모각이었다. 실제 고대 그리스의 대리석 조각에는 채색이 있었지만, 빙켈만은 "고대 그리스는 순백의 문화"라고 주장했기 때문에, 그 후 엘긴 마블 등 그리스 조각의 표면이 박물관에서 깎이는 사건이 여러 건 발생했다.

3. 2. 고대 미술사 (1764)

『고대 미술사』(1776년) 1권 표제지의 뱃머리 장식. 빈켈만이 중앙에 있으며, 주변에는 호메로스로물루스와 레무스가 있고, 전경에는 암늑대가, 배경에는 스핑크스에트루리아 도자기가 있다.


빈켈만의 걸작인 『고대 미술사』(Geschichte der Kunst des Alterthums)는 1764년에 출판되어 곧 유럽 문학에 영구적인 기여로 인정받았다. 이 저서에서 "빈켈만의 가장 중요하고 지속적인 업적은 이집트에트루리아를 포함한 모든 고대 미술에 대한 철저하고 포괄적이며 명료한 연대기적 설명을 제시한 것이다."[19] 이는 한 문명의 예술에서 유기적인 성장, 성숙, 쇠퇴를 최초로 정의한 저서였다. 여기에는 문명의 예술과 유물이 들려주는 계시적인 이야기가 포함되어 있는데, 자세히 살펴보면 기후, 자유, 기술과 같은 문화적 요소에 대한 그들 자신의 이야기를 들려준다. 빈켈만은 그리스 미술의 역사와 그리스 자체의 역사를 함께 제시하며, 고대 그리스에서 창조적 활동을 촉진했다고 믿는 정치적, 사회적, 지적 조건에 대한 찬란한 그림을 제시한다.

빈켈만 미술 이론의 기본적인 아이디어는 예술의 목표가 아름다움이며, 이 목표는 개별적이고 특징적인 특징이 예술가의 일반적인 계획에 엄격하게 종속될 때만 달성될 수 있다는 것이다. 진정한 예술가는 자연에서 그의 목적에 적합한 현상을 선택하고 상상력을 발휘하여 이를 결합하여 정상적인 비율이 유지되는 이상적인 유형을 창조하며, 근육과 정맥과 같은 특정 부분은 일반적인 윤곽의 조화를 깨뜨리도록 허용되지 않는다.

『그리스 예술 모방론』(1755년)과 『고대 미술사』(1764년)를 저술하여 고대 예술을 찬미하며 큰 반향을 불러일으켰다. 빈켈만은 예술은 자연을 이상화해야 하는 것(미의 이데아를 표현하는 것)이며, 그것은 고대 그리스에서 달성되었으므로 우리가 목표해야 하는 것은 고대 그리스의 모방이라고 주장했다. 빈켈만의 저서는 신고전주의의 이론적 기둥이 되어 괴테, 레싱에게도 영향을 주었다.

빙켈만이 고대 그리스 조각이라고 생각했던 작품의 대부분은 실제로는 로마 시대의 모각이었다. 실제 고대 그리스의 대리석 조각에는 채색이 있었지만, 빈켈만은 "고대 그리스는 순백의 문화"라고 주장했기 때문에, 그 후 엘긴 마블 등 그리스 조각의 표면이 박물관에서 깎이는 사건이 여러 건 발생했다.

3. 3. 기타 저술


  • '''그리스 회화와 조각에서 그리스 작품 모방에 대한 생각'''(''Gedanken über die Nachahmung der griechischen Werke in der Malerei und Bildhauerkunst'')[27], 작품에 대한 가짜 공격과 원칙에 대한 옹호가 중립적인 비평가에 의해 명목상으로 이어졌다. (초판 50부 1755년, 2판 1756년)
  • '''슈토슈 남작의 각인된 돌에 대한 설명'''(''Description des pierres gravées du feu Baron de Stosch'') (1760).
  • '''고대 건축에 대한 논평'''(''Anmerkungen über die Baukunst der Alten''), 파에스툼 사원에 대한 설명 포함 (1762)
  • '''헤르쿨라네움 발굴에 대한 서한'''(''Sendschreiben von den Herculanischen Entdeckungen'') (1762).
  • '''예술에서의 아름다움에 대한 에세이'''("Essay on the Beautiful in Art") (1763), 프리드리히 루돌프 폰 베르크에게 보낸 서한 형식의 에세이.
  • '''최근 헤르쿨라네움 발굴에 대한 보고서'''("Nachrichten von den neuesten Herculanischen Entdeckungen") (1764).
  • '''고대 예술의 역사'''(''Geschichte der Kunst des Alterthums'') (1764).[27]
  • '''풍유에 대한 시도'''(''Versuch einer Allegorie'') (1766), 많은 사고와 독서의 결과를 담고 있지만 철저하게 비판적인 정신으로 구성되지는 않음.
  • '''미발표 고대 유물'''(''Monumenti antichi inediti'') (1767–1768), 예술사의 일반적인 개요를 제시하는 ''Trattato preliminare''로 시작됨. 이 작품의 판화는 잘못 설명되었거나 전혀 설명되지 않은 물체를 나타냄.
  • '''비안코니에게 보낸 편지'''(''Briefe an Bianconi''), 사후 11년 후 ''Antologia Romana''에 게재됨.

4. 영향 및 평가

빙켈만의 저술은 근대 유럽에서 고대 그리스(때로는 이상화된)를 발견하는 과정, 신고전주의, 그리고 모방(Nachahmung)으로서의 예술이라는 이론을 이해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21] 그는 단순히 복사하는 것이 아니라 모방하는 예술의 모방적 특성[22]을 강조했는데, 이는 계몽주의 고전 이상주의를 해석하는 데 중심적이다.[23] 빙켈만은 18세기 후반 미적 취향 변화의 초기 단계에 서 있었다.[24]

그의 연구서인 『헤르쿨라네움 발굴에 관한 서한』(1762년)과 『최근 헤르쿨라네움 발굴에 관한 보고서』(1764년)를 통해 학자들은 폼페이 발굴에 대한 최초의 실질적인 정보를 얻었다. 그의 주요 저서인 『고대 예술사』(1764년)는 당대 그리스 예술의 우월성에 대한 견해에 큰 영향을 미쳤으며, 프랑스어, 영어, 이탈리아어로 번역되었다.

빙켈만은 자신이 연구한 예술 작품뿐만 아니라 고대 문헌의 관련 언급들을 활용하여, 직접적인 정보가 부족한 시대에 대해 많은 유익한 제안을 했다. 그는 기존 예술 작품에 정밀한 경험적 조사를 적용했지만, 로마 시대 복제품에 대한 불충분한 증거로 인해 그의 결론 중 상당수는 후대 연구자들에 의해 수정되거나 뒤집어졌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그의 저술은 열정적인 묘사, 우아한 문체, 생생한 예술 작품 묘사로 즉각적인 매력을 끌었으며, 그리스 예술과 고대 문명 연구 방식에 큰 영향을 미쳐 한 시대를 규정했다.

4. 1. 신고전주의 미술

빙켈만의 저술은 근대 유럽에서 신고전주의와 모방으로서의 예술이라는 이론을 이해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21] 빙켈만이 재해석한, 단순히 복사하는 것이 아니라 모방하는 예술의 모방적 특성[22]계몽주의 고전 이상주의를 해석하는 데 중심적이다.[23]

그의 주요 저서인 『고대 예술사』(Geschichte der Kunst des Alterthums, 1764년)는 당대 그리스 예술의 우월성에 대한 견해에 깊은 영향을 미쳤다. 레스싱(Gotthold Ephraim Lessing)은 그의 저서 라오콘(1766년)에서 시각 예술의 조화와 표현에 대한 빙켈만의 견해를 바탕으로 많은 아이디어를 얻었다. 헤르더(Johann Gottfried Herder), 괴테(Goethe), 칸트(Immanuel Kant)도 그의 저서를 깊은 관심을 가지고 읽었다.[25]

『그리스 예술 모방론』(1755년)과 『고대 미술사』는 고대 예술을 찬미하며 큰 반향을 불러일으켰다. 빙켈만은 예술은 자연을 이상화해야 하는 것(미의 이데아를 표현하는 것)이며, 그것은 고대 그리스에서 달성되었으므로 우리가 목표해야 하는 것은 고대 그리스의 모방이라고 주장했다. 빙켈만의 저서는 신고전주의의 이론적 기둥이 되었다.

4. 2. 독일 문화 및 사상

빙켈만의 저술은 근대 유럽에서 고대 그리스(때로는 이상화된)를 발견한 과정, 신고전주의, 그리고 모방(Nachahmung)으로서의 예술이라는 이론을 이해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21] 빙켈만이 재해석한, 단순히 복사하는 것이 아니라 모방하는 예술의 모방적 특성[22]계몽주의 고전 이상주의를 해석하는 데 중심적이다.[23]

그의 주요 저서인 『고대 예술사』(Geschichte der Kunst des Alterthums, 1764년)는 당대 그리스 예술의 우월성에 대한 견해에 깊은 영향을 미쳤다. 레스싱은 그의 저서 라오콘(1766년)에서 시각 예술의 조화와 표현에 대한 빙켈만의 견해를 바탕으로 많은 아이디어를 얻었다.

빙켈만의 저술은 신고전주의의 이론적 기둥이 되어 괴테, 레싱에게도 영향을 주었다.

빙켈만의 역사적 위상은 그가 사후에 받은 수많은 영예로 가장 잘 설명된다. 그중 하나는 1819년에 제작된 저명한 인물들을 위한 프랑스 메달 시리즈에 포함된 메달이다.[26]

1819년 요한 요아힘 빙켈만 메달


오늘날 베를린 훔볼트 대학교의 빙켈만 연구소는 고고학 연구에 전념하고 있다.

독일 슈텐달, 빙켈만 광장의 빙켈만 동상


독일 슈텐달, 빙켈만 광장의 빙켈만 동상 받침대


빙켈만이 고대 그리스 조각이라고 생각했던 작품의 대부분은 실제로는 로마 시대의 모각이었다. 실제 고대 그리스의 대리석 조각에는 채색이 있었지만, 빙켈만은 "고대 그리스는 순백의 문화"라고 주장했기 때문에, 그 후 엘긴 마블 등 그리스 조각의 표면이 박물관에서 깎이는 사건이 여러 건 발생했다.

빙켈만이 주장한 고대 그리스와 로마의 회화와 조각에 묘사된 인간을 이상으로 보는 고전주의 미학은, 페트루스 캄퍼(Petrus Camper) 등 초기 문화인류학의 근거가 되었고, 초기 문화인류학은 인종의 “체형과 용모의 미추(美醜)”를 강하게 의식하게 되었다. 캄퍼 등의 초기 인류학 이론과 주장은, 요한 카스파르 라파터(Johann Kaspar Lavater)의 관상학, 프란츠 요제프 갈(Franz Joseph Gall)의 골상학, 체사레 롬브로소(Cesare Lombroso)의 생래성 범죄자설, 알퐁스 베르티용(Alphonse Bertillon)의 인체 측정법, 나치 독일반유대주의 인종론 등과 같은 우생학 및 인종론의 주장에 이론적으로 영향을 주었다.

4. 3. 비판적 시각

빙켈만의 저술은 근대 유럽에서 고대 그리스를 발견하고, 신고전주의와 모방으로서의 예술이라는 이론을 이해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했다.[21] 특히 그가 재해석한, 단순히 복사하는 것이 아니라 모방하는 예술의 모방적 특성[22]계몽주의 고전 이상주의를 해석하는 데 중심적이었다.[23]

빙켈만이 고대 그리스 조각이라고 생각했던 작품의 대부분은 실제로는 로마 시대의 모각이었다. 실제 고대 그리스의 대리석 조각에는 채색이 있었지만, 빙켈만은 "고대 그리스는 순백의 문화"라고 주장했기 때문에, 그 후 엘긴 마블 등 그리스 조각의 표면이 박물관에서 깎이는 사건이 여러 건 발생했다.

빙켈만이 주장한 고대 그리스와 로마의 회화와 조각에 묘사된 인간을 이상으로 보는 고전주의 미학은 초기 문화인류학의 근거가 되었고, 초기 문화인류학은 인종의 “체형과 용모의 미추(美醜)”를 강하게 의식하게 되었다. 이러한 초기 인류학 이론과 주장은 우생학 및 인종론의 주장, 나치 독일반유대주의 인종론 등에 이론적으로 영향을 주었다.

5. 한국어 번역

원제번역서명번역자출판사출판연도비고
그리스 예술 모방론그리스 예술 모방론澤柳大五郎|사와야나기 다이고로일본어자우보 간행회1976년신판
고대 미술사고대 미술사中山典夫|나카야마 노리오일본어중앙공론미술출판2001년
그리스 예술 모방론그리스 예술 모방론田邊玲子|타나베 레이코일본어이와나미 문고2022년


참조

[1] 서적 Winckelmann http://www.dictionar[...] Random House Webster's Unabridged Dictionary
[2] 서적 Winckelmann London 1971
[3] 참고자료 Boorstin
[4] 서적 Instant Art History https://archive.org/[...] Random House Publishing Group 1995-02
[5] 서적 History of the art of antiquity https://archive.org/[...] Getty Research Institute 2006
[6] 서적 The Tyranny of Greece over Germany https://www.cambridg[...] Cambridge University Press
[7] 서적 Die Stadt der Gelehrten: Studien zu Johann Joachim Winckelmanns Briefen aus Rom Tübingen 1993
[8] 논문 Does Hogarth depict Old Fritz truthfully with a crooked beak?: the pictures familiar to us from Pesne to Menzel don't show this https://doi.org/10.1[...] Heidelberg University: arthistoricum.net 2022
[9] 서적 Outing Goethe and His Age https://archive.org/[...] Stanford University Press 1996
[10] 서적 Studies in Renaissance Thought and Letters https://books.google[...] Ed. di Storia e Letteratura 1993
[11] 참고자료 Boorstin
[12] 서적 Winkelmann und sein Jahrhundert 1805
[13] 서적 Reflections on the painting and sculpture of the Greeks: with Instructions for the connoisseur, and an essay On grace in works of art. https://catalog.hath[...] Printed for A. Millar and T. Cadell 1767
[14] 백과사전 Johann Joachim Winckelmann
[15] 논문 Winckelmann, Mengs and Casanova: A Reappraisal of a Famous Eighteenth-Century Forgery 1972
[16] 참고자료 Boorstin
[17] 참고자료 Boorstin
[18] 웹사이트 WINCKELMANN, Johann Joachim (1779) http://www.horti-hes[...] Horti Hesperidum. Università degli Studi di Roma "Tor Vergata", Facoltà di Lettere e Filosofia, Edificio B, IV
[19] 서적 Taste and the Antique Yale University Press 1981
[20] 웹사이트 Scritti di G.L. Bianconi and BIANCONI Giovanni Ludovico (1778) http://www.horti-hes[...] Horti Hesperidum. Università degli Studi di Roma "Tor Vergata", Facoltà di Lettere e Filosofia, Edificio B, IV
[21] 참고자료 Philhellenism
[22] 참고자료 Quarrel of the Ancients and the Moderns
[23] 논문 Winckelmann's Essay on Imitation 1976
[24] 서적 Imitation, eclecticism, and genius Penguin 1965
[25] 참고자료 Henry Fuseli 1849
[26] 웹사이트 Gelehrtenbilder. Altertumswissenschaftler auf Medaillen des 19. Jahrhunderts. http://hdl.handle.ne[...] S. Krmnicek (Hrsg.), Von Krösus bis zu König Wilhelm. Neue Serie Bd. 3 2020
[27] 서적 History of ancient art https://archive.org/[...] F. Ungar Pub. Co 1873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